에이비랩솔루션
728x90
반응형

미국주식 26

스프레드(Spread)와 페어 트레이드(Pair Trade)

채권 거래에서 **스프레드(Spread)**와 **페어 트레이드(Pair Trade)**는 서로 관련이 있지만 다른 개념입니다. 각각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1. 스프레드(Spread)스프레드는 두 가지 채권의 금리(수익률, Yield) 차이를 의미합니다. 보통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활용됩니다.(1) 신용 스프레드(Credit Spread)신용도가 다른 두 채권 간 수익률 차이입니다.예: 국채(Treasury Bond)와 회사채(Corporate Bond)의 수익률 차이국채 수익률: 3%회사채 수익률: 5%→ 신용 스프레드 = 5% - 3% = 2% (200bp, 1bp = 0.01%)신용 스프레드는 기업 신용위험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2) 이자율 스프레드(Interest Rate Spre..

대투가 2025.02.02

PBR(주가순자산비율), PSR, (주가매출비율)으로 주가의 고평가 저평가를 알아보는 법

1. PBR (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PBR = 주가 ÷ 주당 순자산(BPS, Book Value per Share)PBR은 기업의 현재 주가가 순자산(자본총계)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즉, 기업이 보유한 자산 대비 주가가 높은지 낮은지를 평가하는 기준이 됩니다.PBR 해석 방법PBR PBR > 1: 주가가 순자산보다 높게 평가됨 → 고평가 가능성예를 들어, PBR이 0.8이면 이론적으로 기업을 청산했을 때 주가보다 더 많은 가치가 남는다는 의미가 되어, 저평가된 기업일 가능성이 있습니다.반면, PBR이 3이라면 기업의 자산가치보다 3배나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는 뜻이므로, 고평가 가능성이 있습니다.하지만, PBR이 낮다고 무조건 저평가된 것은 아닙니다.기업이..

대투가 2025.02.01

주식 투자에서 공매도란? 어린이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하기

공매도는 주식 투자에서 내려가는 주가를 이용해 돈을 버는 방법입니다. 보통 우리는 "싸게 사서 비싸게 판다"는 방식으로 투자하지만, **공매도는 반대로 "비싸게 팔고 싸게 산다"**는 개념입니다.---1. 공매도의 개념 (쉽게 이해하기)▶ 공매도의 원리1. 주식을 빌린다: 주식이 10,000원일 때, 증권사에서 주식을 빌려옵니다.2. 주식을 판다: 10,000원에 주식을 시장에서 팝니다.3. 주가가 내려가기를 기다린다: 주가가 7,000원으로 떨어졌다고 가정합니다.4. 싼 가격에 다시 산다: 7,000원에 주식을 다시 사서 증권사에 돌려줍니다.5. 차익을 얻는다: 처음 10,000원에 팔고 7,000원에 다시 샀으므로, 3,000원의 이익을 얻습니다.위 그림을 보면 공매도의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

대투가 2025.02.01

미국 PCE 개념과 물가, 금리, 인플레이션, 주가와의 상관관계

미국 PCE 개념과 물가, 금리, 인플레이션, 주가와의 상관관계미국 경제에서 PCE(개인소비지출,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지표는 연준(Fed)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인플레이션 지표입니다. PCE는 금리, 물가, 주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를 이해하면 경제 흐름을 파악하고 투자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이번 글에서는 PCE의 개념과 중요성, 그리고 물가·금리·인플레이션·주가와의 관계를 표와 그래프를 포함하여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PCE(개인소비지출)란?PCE는 미국 소비자들이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데 지출한 금액을 의미하며, 미국 경제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PCE의 특징미국 GDP(국내총생산)의..

대투가 2025.02.01

역발상 투자와 효율적 시장 가설 그리고 지수투자의 중요성

역발상 투자와 효율적 시장 가설 그리고 지수투자의 중요성주식 투자에서 성공하려면 다양한 투자 이론과 전략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역발상 투자(Contrarian Investing), 효율적 시장 가설(EMH, Efficient Market Hypothesis), 그리고 **지수 투자(Index Investing)**는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이를 이해하면 투자에 대한 시각을 넓힐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개념들을 차례대로 살펴보고, 왜 지수 투자가 중요한지 분석해 보겠습니다.---1. 역발상 투자(Contrarian Investing)란?역발상 투자는 시장의 대중적인 흐름과 반대로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즉, 사람들이 공포에 질려 주식을 팔 때 매수하고, 탐욕적으로 주식을 사들일 때 매..

대투가 2025.02.01

미국주식의 지수투자에 대해서

지수투자는 주식시장에서 특정 주가지수(S&P 500, 나스닥 등)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투자 전략으로, 개별 종목이 아닌 시장 전체 또는 특정 섹터의 성과에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한 번의 거래로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지수투자의 이점1. 분산 투자 효과: 지수는 수십에서 수백 개의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개별 기업의 리스크를 최소화합니다. 하나의 기업이 실패하더라도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기에 지수 투자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낮은 비용과 관리의 용이성: 인덱스 펀드나 상장지수펀드(ETF)를 통해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훨씬 간편하고 효율적입니다. 3. 시장 대표성: 지수는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반영하므로, 경제 성장에 따른 ..

대투가 2025.01.30

평균으로의 회귀(Mean Reversion)란?

1. 평균으로의 회귀(Mean Reversion)란?평균으로의 회귀는 자산의 가격이 장기적인 평균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어떤 주식이 단기적으로 너무 많이 오르거나 내리면, 결국 평균적인 가격 수준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는 이론입니다.예를 들어, A라는 주식이 평균 가격이 100,000원인데 갑자기 130,000원까지 올랐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러면 이 주식은 과열된 상태이므로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100,000원 근처로 내려올 가능성이 큽니다. 반대로, 어떤 악재로 인해 70,000원까지 떨어졌다면 시간이 지나면서 평균 가격인 100,000원에 가까워질 가능성이 있습니다.2. 평균 회귀를 활용한 투자 전략이 개념을 활용하면 손실을 줄이고 수익을 높일 수 있는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대투가 2025.01.30

뮤추얼펀드(Mutual Fund)와 인덱스펀드(Index Fund)의 차이

뮤추얼펀드(Mutual Fund)와 인덱스펀드(Index Fund)는 모두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운용하는 펀드이지만, 운용 방식과 특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1. 뮤추얼펀드 (Mutual Fund)운용 방식: 펀드 매니저가 적극적으로 투자하여 시장 수익률을 초과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액티브 운용)수수료: 비교적 높은 편(매니저의 운용 보수, 매매 비용 등)목표: 시장 평균을 이기는 것 (ex. 개별 종목 선별, 시장 트렌드 분석)위험성: 시장 상황과 운용자의 능력에 따라 성과가 달라질 수 있음2. 인덱스펀드 (Index Fund)운용 방식: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방식으로 운용 (패시브 운용)수수료: 비교적 낮음 (거래 빈도가 낮고, 매니저 개입이 적음)목표: 시장 평균 수익률을 따라가는 것..

대투가 2025.01.30

가용성 어림판단(Availability Heuristic)이란?

1. 가용성 어림판단(Availability Heuristic)이란?가용성 어림판단은 사람들이 어떤 사건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할 때 객관적인 통계적 분석보다는 기억에 쉽게 떠오르는 정보(즉, 가용한 정보) 에 의존하는 인지 편향입니다.이 개념은 심리학자 다니엘 카너먼(Daniel Kahneman)과 아모스 트버스키(Amos Tversky) 가 연구한 행동경제학의 핵심 이론 중 하나입니다.주식 투자에서 가용성 어림판단은 특정 뉴스, 최근의 경험, 감정적으로 강렬한 사건 등이 투자 판단에 과도한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2. 가용성 어림판단으로 인한 투자 손실 가능성가용성 어림판단이 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1) 최근 뉴스에 의한 과잉 반응주식 시장에서 특정 종목이 급등했다는 뉴스..

대투가 2025.01.30

대체 백수가 취업했는데 주식은 왜 오르나? 실업율이 높아지면 주식시장에 호재인 이유

실업률이 높아지면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에는 악재로 여겨지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호재로 작용할 수있습니다. 이는 주식시장이 미래의 경제 상황과 정책 변화를 선반영하기 때문입니다.아래에서 그 이유를 설명해보겠습니다.---1. 중앙은행의 완화적 통화정책 기대실업률이 높아지면 경제가 침체되었다고 판단하여, 중앙은행(미국의 경우 연방준비제도)이 금리를 낮추거나 양적 완화를 통해 유동성을 공급할 가능성이 커집니다.낮은 금리는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을 줄이고, 투자와 소비를 촉진하므로, 주식시장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2. 투자자들의 저평가된 자산 매수실업률 상승으로 인해 기업의 실적 전망이 악화되면서 주가가 하락할 경우, 이를 저평가된 매수 기회로 여기는 투자자들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특히, 장기적인 ..

성장주파수 2025.01.0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