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랩솔루션
728x90
반응형

주식공부 4

PBR(주가순자산비율), PSR, (주가매출비율)으로 주가의 고평가 저평가를 알아보는 법

1. PBR (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PBR = 주가 ÷ 주당 순자산(BPS, Book Value per Share)PBR은 기업의 현재 주가가 순자산(자본총계)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즉, 기업이 보유한 자산 대비 주가가 높은지 낮은지를 평가하는 기준이 됩니다.PBR 해석 방법PBR PBR > 1: 주가가 순자산보다 높게 평가됨 → 고평가 가능성예를 들어, PBR이 0.8이면 이론적으로 기업을 청산했을 때 주가보다 더 많은 가치가 남는다는 의미가 되어, 저평가된 기업일 가능성이 있습니다.반면, PBR이 3이라면 기업의 자산가치보다 3배나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는 뜻이므로, 고평가 가능성이 있습니다.하지만, PBR이 낮다고 무조건 저평가된 것은 아닙니다.기업이..

대투가 2025.02.01

평균으로의 회귀(Mean Reversion)란?

1. 평균으로의 회귀(Mean Reversion)란?평균으로의 회귀는 자산의 가격이 장기적인 평균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어떤 주식이 단기적으로 너무 많이 오르거나 내리면, 결국 평균적인 가격 수준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는 이론입니다.예를 들어, A라는 주식이 평균 가격이 100,000원인데 갑자기 130,000원까지 올랐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러면 이 주식은 과열된 상태이므로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100,000원 근처로 내려올 가능성이 큽니다. 반대로, 어떤 악재로 인해 70,000원까지 떨어졌다면 시간이 지나면서 평균 가격인 100,000원에 가까워질 가능성이 있습니다.2. 평균 회귀를 활용한 투자 전략이 개념을 활용하면 손실을 줄이고 수익을 높일 수 있는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대투가 2025.01.30

가용성 어림판단(Availability Heuristic)이란?

1. 가용성 어림판단(Availability Heuristic)이란?가용성 어림판단은 사람들이 어떤 사건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할 때 객관적인 통계적 분석보다는 기억에 쉽게 떠오르는 정보(즉, 가용한 정보) 에 의존하는 인지 편향입니다.이 개념은 심리학자 다니엘 카너먼(Daniel Kahneman)과 아모스 트버스키(Amos Tversky) 가 연구한 행동경제학의 핵심 이론 중 하나입니다.주식 투자에서 가용성 어림판단은 특정 뉴스, 최근의 경험, 감정적으로 강렬한 사건 등이 투자 판단에 과도한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2. 가용성 어림판단으로 인한 투자 손실 가능성가용성 어림판단이 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1) 최근 뉴스에 의한 과잉 반응주식 시장에서 특정 종목이 급등했다는 뉴스..

대투가 2025.01.30

어려운 주식용어 공식처럼 외워서 성공투자 하자

Intro.PMI (Purchasing Manager''s Index, 구매관리자지수)EPS (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보기만해도 어렵죠?그렇지만 주시관련 뉴스에 심심찮게 나오는 용어입니다.그래서인지 공부해도 자꾸만 까먹게 됩니다.그러다보면 수포자(수학포기자^^)처럼 주식공부를 포기하고,그러다보면 묻지마 매수매도하여 수익율은 물가상승률도못따라가게 됩니다.ㅠ그렇다면 수험생처럼 공부해야 할까요?그러면 좋겠지만 쉽진 않죠.제가 생각하기에는 PMI EPS 등 용어 자체보다 이들 지표와주가와의 관계를 파악하는게 중요합니다.마치 수학 공식을 외우듯 말이죠.공식만 잘알면 어려운 수학문제를 풀 듯 경제동향과주가전망이 보이기 시작합니다1. PMI란?기업들의 구매 담당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해서 현재 경..

성장주파수 2025.01.0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