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랩솔루션

대투가

🌍 플렉시로컬 & 워케이션족: 유연하게 일하고, 자유롭게 살아가는 사람들

에이비랩 2025. 4. 18. 10:02
728x90
반응형

 

1. 🧭 플렉시로컬(Flexilocal): 유연한 지역 기반 근무자

플렉시로컬은 ‘Flexible(유연한)’과 ‘Local(지역 기반)’의 합성어로,
물리적 사무실이나 특정 거주지에 고정되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서 유연하게 일하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 특징:

  • 재택, 코워킹, 지방 체류 등 유연한 업무 공간 활용
  • 본사는 수도권이나 해외에 있으나, 개인은 비수도권 혹은 해외 거주
  • 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지역성과 연결된 삶을 선호
  • 로컬 커뮤니티 활동이나 슬로우 라이프 스타일을 병행

💡 예시:

  • 서울 본사의 기획자가 강릉의 협업공간에서 일하며 서핑을 즐기는 삶
  • 제주, 여수 등지의 체류형 거점 오피스와 연계된 장기 체류 근무자

📌 의미:

  • 수도권 집중 해소 + 지방의 인구 활성화
  • 기업 입장에서는 우수 인재 유치 확대와 유연한 조직문화 강화
  • 개인 입장에서는 비용 절감, 삶의 질 향상, 새로운 커뮤니티 형성

2. 🏖️ 워케이션족(Workation Tribe): 일과 휴가를 함께 즐기는 사람들

**워케이션(Workation)**은 Work(일) + Vacation(휴가)의 합성어로,
일하면서 동시에 여행 또는 휴식을 즐기는 라이프스타일을 말합니다.
워케이션족은 이 문화를 일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을 지칭합니다.

🎯 특징:

  • 관광지나 자연친화적 장소에서 일하며 힐링
  • 숙박 공간 + 업무 공간 + 여가 콘텐츠를 함께 고려
  • 1~2주 단기 체류부터 수개월 장기 체류까지 다양

💡 예시:

  • 제주도에서 한 달 살기 하며 오전에는 재택근무, 오후에는 트레킹
  • 강릉 워케이션 스테이에서 팀 단위로 프로젝트 진행 후 바닷가 산책

📌 의미:

  • 전통적 ‘출근-퇴근’ 개념의 해체
  • 업무 효율과 삶의 만족을 동시에 추구
  • 기업에서도 복지 차원에서 ‘워케이션 제도’를 도입하는 추세

🔄 플렉시로컬 vs 워케이션족 – 비교 요약

 

항목 플렉시로컬 워케이션족
개념 유연한 지역 분산 근무자 일 + 휴가형 근무 방식 실천자
기간 중장기적 거주/근무 단기 체류 중심
목적 일과 삶의 균형, 정착 일과 삶의 리프레시, 경험
대표 공간 로컬 거점 오피스, 코워킹 스페이스 숙박+업무 겸용 공간, 워케이션 전용 리조트
활용 예 강릉, 제주 거점 오피스, 로컬 라이프 워케이션 지원 프로그램, 호텔 장기투숙

📚 참고문헌

  1. 김난도 외 (2024). 트렌드 코리아 2025. 미래의 창.
  2. 이코노미조선 (2023). "‘플렉시로컬’이 만든 새로운 삶의 풍경"
  3. 한국관광공사 (2022). 워케이션 가이드북
  4. 직방 리서치 (2023). 원격근무 시대, 직장인의 거주지 이동 트렌드 보고서
  5. 플래텀 (2024). "MZ세대는 왜 워케이션을 선택했나"
  6. 조선일보 (2023). “[지방에서 일하는 사람들: 플렉시로컬 시대의 청년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