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랩솔루션

대투가

퍼레니얼 세대 란? 기존세대와의 차이점

에이비랩 2025. 4. 18. 09:36
728x90
반응형

 

들어가며.

“퍼레니얼(Perennial)”이라는 개념은 기존의 세대 구분 방식과는 전혀 다른 틀로 사람들을 이해하려는 시도입니다. 특히 MZ세대(밀레니얼 + Z세대)처럼 출생 시기를 기준으로 사람들의 특성을 분류하는 세대론과 비교하면, 퍼레니얼은 **‘시간이 아닌 태도와 가치관에 기반한 세대’**라는 점에서 매우 다릅니다.


🌀 퍼레니얼(Perennial) 시대의 의미

퍼레니얼은 식물학에서 "다년생 식물"을 뜻하는 단어로, 해마다 다시 피고 자라는 생명력을 지닌 존재를 의미합니다. 이 개념을 사회학적으로 확장해 사용한 사람은 미국의 작가 **지나 벨라폰테(Gina Pell)**입니다.

그녀는 퍼레니얼을 이렇게 정의했습니다:

“나이, 성별, 국적에 관계없이 끊임없이 배우고, 새로운 것에 호기심을 가지며, 시대의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들.”

🌱 퍼레니얼 세대의 핵심 특징

  • 출생 연도와 관계없이 새로운 기술, 문화, 사회 변화에 적극적으로 반응
  • 세대 간 구분보다 가치 지향적 연결을 중시
  • 지속적인 성장과 변화를 추구
  • 특정 연령층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나이대의 사람들과 관계 형성
  • 나이나 생애 주기보다 관심사, 태도, 라이프스타일이 더 큰 분류 기준

🆚 기존 세대 구분과의 차이점

구분 기존 세대론 (MZ세대 등) 퍼레니얼 세대
기준 출생 연도, 사회적 사건 태도, 가치관, 행동 방식
대표 세대 M세대(19811996), Z세대(19972012) 연령 무관 (20대부터 70대 이상까지 포함 가능)
특징 디지털 친화적, 개인주의, 워라밸 중시 유연함, 다세대 교류, 지속적 성장지향
단점 세대 일반화 위험, 고정 관념 강화 개인의 다양성 인정, 경계 허물기
예시 “Z세대는 숏폼을 좋아한다”, “M세대는 회사에 충성하지 않는다” “나는 60대지만 AI를 배우고, Z세대와 협업한다”

📌 왜 퍼레니얼 개념이 주목받는가?

  • 고령화, 생애 주기 다양화, 기술 혁신 속도가 빨라지며 전통적인 세대 구분의 유효성이 낮아짐
  • 동일 연령 내에서도 다양한 라이프스타일과 가치관이 공존
  • 브랜드와 조직이 더는 “나이 타겟”이 아닌 “가치 타겟” 중심으로 전환 필요

🔍 참고문헌

  1. Pell, G. (2016). Meet the Perennials. Medium.
  2. 김용섭 (2020). 라이프 트렌드 2021. 부키.
  3. 김난도 외 (2022). 트렌드 코리아 2023. 미래의 창.
  4. Harvard Business Review (2017). Marketing to ‘Perennials’.
  5. 중앙일보. (2023). "[‘MZ’보다 무서운 ‘퍼레니얼’]" – 세대 구분의 진화.
  6. 신지혜 (2024). ‘퍼레니얼 시대’의 조직문화 전략, 이코노미조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