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랩솔루션

대투가

로보택시 4사 기술 비교: Waymo, Zoox, 바이두, 테슬라

에이비랩 2025. 6. 27. 09:19
728x90
반응형

다음은 Waymo, Zoox, 중국계 로보택시(바이두 등), 테슬라 로보택시의 자율주행 택시 기술을 비교한 설명입니다.
각 기업의 기술 방향, 차량 구조, 상용화 전략을 중심으로 종합 정리하였습니다.


로보택시 4사 기술 비교: Waymo, Zoox, 바이두, 테슬라


1. Waymo (Alphabet/Google 자회사)

  • 핵심 기술
    • 센서 융합: 자사 개발 LiDAR + 레이더 + 카메라의 트리플 센서.
    • Waymo Driver 소프트웨어: 수억 km의 실도로 데이터를 학습한 자율주행 알고리즘.
  • 차량 플랫폼
    • 기존 차량(크라이슬러, 재규어 등)을 개조해 시스템 장착.
  • 운행 형태
    • 레벨 4 자율주행을 적용한 완전 무인 택시 서비스 (특정 도시 내).
  • 상용화 현황
    • 피닉스, 샌프란시스코, LA 등 일부 지역에서 상용 서비스 운영.
    • 가장 검증된 실적 보유.

장점: 검증된 안정성, 실도로 테스트 누적 데이터 세계 최다
단점: 차량 개조 방식 → 공간 및 효율성 한계


2. Zoox (Amazon 자회사)

  • 핵심 기술
    • 완전 전기 구동의 대칭형 차량: 앞뒤 구분 없이 주행 가능, 스티어링 휠 없음.
    • 내부 공간: 4인 마주보는 좌석, 로보택시에 특화된 독립 설계.
    • 360도 센서 스택: 라이다 + 레이더 + 카메라 조합.
  • 차량 플랫폼
    • 처음부터 사람 없이도 운행 가능한 전용 로보택시 플랫폼 설계.
  • 운행 형태
    • 도심 단거리, 저속 주행을 위한 완전 무인 차량.
  • 상용화 현황
    • 미국 일부 도시에서 주행 테스트 중.
    • Amazon 물류와의 연계도 병행 개발.

장점: 공간 활용 최적화된 설계, 미래형 택시 디자인
단점: 상용화 초기 단계, 고속주행·장거리 한계


3. 중국계 로보택시 (바이두 Apollo Go, AutoX, Pony.ai 등)

  • 핵심 기술
    • 고정밀 지도 + AI 인식 시스템 + 5G 원격제어 통신.
    • 다양한 차량에 자율주행 시스템을 장착해 상용화.
  • 차량 플랫폼
    • 일반 차량(홍치, 현대차 등)에 자율주행 키트를 탑재하거나, 자체 플랫폼 일부 개발.
  • 운행 형태
    • 일부 도시에서 운전석 완전 무인 운행 가능.
  • 상용화 현황
    • 베이징, 상하이, 우한, 선전 등 다수 도시에서 유상 로보택시 운영.
    • 누적 탑승자 수 수백만 명에 달함.

장점: 빠른 상용화, 지방정부 협력, 규제 유연성
단점: 고정밀 지도 의존도 높음 → 적용 범위 제한


4. Tesla Robotaxi (2024 발표 예정)

  • 핵심 기술
    • FSD (Full Self Driving) 소프트웨어: 오로지 비전 기반(카메라만) 자율주행 시스템.
    • 라이다·레이더 배제, 딥러닝 기반 신경망으로 판단·제어.
    • 수백만 대의 테슬라 차량으로부터 도로 학습 데이터 수집.
  • 차량 플랫폼
    • 기존 모델3, 모델Y에 탑재한 방식 외에, 2024년 8월 전용 로보택시 차량 공개 예정.
    • 무핸들, 무페달 설계 가능성 있음.
  • 운행 형태
    • 소유형 로보택시: 개인이 차를 공유 플랫폼에 등록하는 방식(Fleet Network 개념).
  • 상용화 현황
    • 아직 미출시 상태이나, 기술 베타 테스트 및 로드맵 제시는 진행 중.
    • 엘론 머스크는 2025년부터 제한적 지역에서 운행 시작 목표 제시.

장점: 대량 보급형 로보택시 모델 가능, 소프트웨어 OTA 업그레이드
단점: 비전-only 방식의 안전성 논란, 실증 검증 부족

 


🔍 비교 요약표

소속 Google/Alphabet Amazon 바이두, AutoX 등 Tesla
센서 방식 라이다+카메라+레이더 라이다 중심 360도 센서 라이다 중심 융합 카메라 기반 only
차량 구조 기존 차량 개조 전용 차량 설계 일반차 + 키트 혼합 기존차 + 전용 모델 (예정)
자율주행 레벨 레벨 4 레벨 4 레벨 4 레벨 4 지향 (FSD 베타)
상용화 단계 미국 내 상용 서비스 중 테스트 단계 다수 도시 상용 중 상용 전, 개발 중
특징 실증 데이터 방대 미래형 로보택시 디자인 중국 내 빠른 확산 대규모 보급형 지향
장점 기술 완성도, 안전성 공간 효율성 규제 수용성, 확산 속도 비용 효율, 확장성
단점 구조 유연성 ↓ 상용화 느림 지도 의존성 ↑ 비전 기반 안전 논란

결론 요약

  • Waymo는 기술적 완성도와 상용 운행 실적에서 세계 최고 수준.
  • Zoox는 로보택시를 위한 이상적 구조 설계로 미래지향적.
  • 중국계 로보택시는 실질적인 도시 운영 경험과 정부 협력에서 앞서 있음.
  • Tesla는 저비용·대중형 플랫폼 전략으로 시장 확대에 집중하며, 카메라 기반 방식의 성공 여부가 관건입니다.

향후 로보택시 시장은 **“센서 융합 기반의 안전성” vs “비전 중심 확장성”**의 경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책적 유연성, 실도로 학습 경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체계 등이 시장 주도권의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