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랩솔루션

대투가

대한민국 상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에이비랩 2025. 6. 19. 10:01
728x90
반응형

 

 

1. 상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

대한민국 정부와 국회가 추진 중인 상법 개정안은 기업의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소액주주 권리 보호를 목표로 하며, 국내 증시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이사의 법적 의무 대상이 ‘회사’뿐 아니라 ‘모든 주주’로 확대되어, 대주주의 사익보다 전체 주주의 이익을 고려한 경영 판단이 요구된다.

② 감사위원 분리선출 및 3% 룰 적용

감사위원을 이사회와 분리하여 선임하며,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은 의결권을 3%로 제한하여 감사위원 선임에 대한 대주주의 영향력을 차단한다.

③ 집중투표제 및 전자주총 제도화

전자투표와 온라인 주총 도입이 확대되며, 집중투표제를 활용해 소액주주가 이사 선임에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④ 다중대표소송제 도입

자회사 임원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모회사 주주가 자회사를 대신해 대표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열사 전반의 법적 감시 기능을 강화한다.

⑤ 대주주의 의결권 제한 확대

횡령·배임으로 기소된 대주주에 대한 의결권 제한, 물적분할·합병 등 의결권 행사 시 특정 요건 하에서 제한 조치를 추가하는 등 견제 장치를 강화한다.


2. 상법 개정에 따른 경제적 효과

상법 개정이 현실화될 경우, 다음과 같은 경제적 효과가 기대된다.

①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해 느껴온 불신 요소가 해소되며, MSCI 선진국지수 편입 가능성이 높아지고, 장기적으로는 최대 60조 원 규모의 해외 자금 유입 효과가 기대된다.

② 주가 밸류에이션(PBR) 리레이팅

지배구조 개선 기업들이 시장의 재평가를 받으며 PBR 0.3~0.6 수준의 저평가 기업들 중심으로 주가 상승이 예상된다.

③ ESG 경영 강화 및 기업 경쟁력 제고

법적·제도적으로 지배구조(G) 부문이 강화됨에 따라, 기업들의 ESG 등급이 개선되고 이는 글로벌 투자 유치 및 평판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④ 증시 참여 확대 및 내수 진작

전자주총 등으로 개인 투자자의 참여가 증가하면서 주식시장에 대한 신뢰가 회복되고, 이로 인해 내수 심리 개선과 금융투자 확대가 기대된다.


3. 수혜가 예상되는 산업 분야 및 대표 종목

상법 개정에 따른 대표적 수혜 기업군은 다음과 같다.

지주회사 메리츠금융지주, KB금융, 신세계 지배구조 간소화 → 주주가치 상승
지배구조 이슈기업 콜마홀딩스, 금호석유화학, 고려아연 낮은 PBR + 지배구조 개선 기대
중공업·조선업 두산에너빌리티,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내부거래 적고 ESG 반영 ↑
금융/IB 업계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등 M&A 및 경영권 분쟁 대응 증가
 

이들 종목은 공통적으로 기업가치 대비 낮은 주가에 거래되고 있으며, 지배구조 개선과 함께 주주 환원정책 강화 등의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크다.


참고문헌

  1. 조선일보. (2025.06.19). 경제포커스: 증시 부양, 내수 살리기 ‘묘수’ 될까?
  2. 한국경제. (2025.06). "상법개정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가능성 분석"
  3. 머니투데이. (2025.06). "3%룰·다중대표소송 도입…수혜주 어디?"
  4.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2025.06). "상법 개정안 통과 시 PBR 리레이팅 분석 보고서"
  5. 법무부. (2025). 「상법 개정안 입법예고안 설명자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