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랩솔루션

대투가

허쉬초콜렛 모델이란 " : 테슬라의 제품 도입 전략으로 보는 프리미엄에서 대중화로 가는 계단식 전략

에이비랩 2025. 6. 1. 08:57
728x90
반응형

 

 

테슬라의 한국시장 진입 전략 요약

테슬라는 한국 시장에서 차량 도입을 프리미엄 → 대중화 흐름으로 단계적으로 진행했습니다:

  1. Model S (2015년 국내 출시)
    • 고가의 럭셔리 전기 세단
    • 테슬라 브랜드 이미지 구축, 조기 수용자(Early Adopters) 공략
  2. Model X (2017년)
    • 프리미엄 SUV, 차별화된 디자인(팔콘 윙 도어)
    • 프리미엄 세그먼트 확대
  3. Model 3 (2019년)
    • 비교적 저렴한 보급형 전기차
    • 대중 시장 공략 시작
  4. Model Y (2021년)
    • SUV 수요 반영한 보급형 모델
    • 실질적인 판매량 견인 모델로 성장

➡️ 전략 요약: 초기에는 브랜드 프리미엄과 기술력을 과시하며 시장 신뢰를 확보한 뒤, 점차 저가/대중 제품으로 확산시켜 점유율을 확대하는 ‘상향식 브랜드 진입 → 하향식 제품 확장’ 전략.


허쉬 초콜릿(Hershey's Chocolate)의 전략 비교

허쉬(Hershey’s) 초콜릿도 초기에는 일부 계층만 접근할 수 있었던 고급 제품을 대중화시키며 미국 국민 브랜드로 성장했습니다.

  • 1900년대 초반, 초콜릿은 고급 수입품이었고, 상류층 중심의 소비재였습니다.
  • 밀턴 허쉬(Milton Hershey)는 대량 생산 기술을 이용해 가격을 낮추고 품질은 유지하며,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식품으로 포지셔닝.
  • 이후 다양한 제품군(허쉬 키세스, 허쉬바, 쿠키앤크림 등)을 통해 세부 시장을 확장했습니다.

➡️ 전략 요약: 초기에는 고급품을 보급형으로 전환시키는 ‘고급의 대중화’, 이후 세분화된 제품으로 시장 전반을 장악.


두 전략의 공통점

항목 테슬라 허쉬초콜렛
시장 진입 전략 고가 전기차로 시작 (브랜드 이미지 확보) 고급 식품을 대중이 접근 가능하게
주요 타겟 초기엔 조기 수용자 → 점차 일반 대중 초기엔 일부 계층 → 전국민 대상
제품 확장 Model S → X → 3 → Y (고가 → 대중) 허쉬바 → 키세스 등 다양한 라인업
핵심 전략 기술력·브랜드 신뢰 확보 후 가격대 확장 대량 생산으로 가격 낮추고 품질 유지
 

결론

테슬라와 허쉬는 전혀 다른 산업에 속하지만, ‘고가에서 대중으로’, ‘브랜드 신뢰 확보 후 확장’, **‘점진적 제품 확산 전략’**이라는 점에서 유사한 제품 전략을 공유합니다.
이러한 전략은 초기 시장에서 프리미엄 포지셔닝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이후 제품 라인업을 넓혀 대중 시장을 장악하는 클래식한 확장 모델로, 여러 산업에서 반복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참고문헌

  1. Tesla 공식 한국 홈페이지 및 출시 이력
  2. Hershey Archives, “Milton Hershey and the mass production of chocolate”, Hershey Community Archives
  3. Harvard Business Review, “Tesla’s Go-to-Market Strategy: A Lesson in Premium-to-Mass”
  4. The Economist, “How Hershey Turned Chocolate Into a Household Product”, 20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