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대학교실험실, 기업부설연구소를 대상으로
맞춤형 실험장비 및 시제품을 맞춤제작하고 있는 에이비랩솔루션입니다.
https://blog.naver.com/ablab2016/223781602973
연구·개발을 위한 실험장비 맞춤 설계/제작
안녕하세요 에이비랩솔루션입니다. 당사는 「대학 실험실」, 「국공립 연구소, 「기업 부설 연구소」를 대...
blog.naver.com
1. 개요
- 내압누설시험(Internal Pressure Leak Test)은 특정 부품이나 시스템이 내부 압력을 견디는 능력을 평가하고, 미세한 누설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시험 방법이다.
- 일반적으로 기체 또는 액체를 시험체 내부에 가압한 후 누설 여부를 확인하며, 산업 현장에서 배관, 탱크, 밸브, 열교환기 등 다양한 장비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데 사용된다.
2. 내압누설시험 방법
내압누설시험은 적용 대상과 요구되는 시험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대표적인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2.1 수압시험 (Hydrostatic Test)
- 시험체 내부에 액체(일반적으로 물)를 채운 후 목표 압력까지 가압하여 누설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 시험 중 압력 강하 여부를 측정하여 누설이 있는지 판단
- 일반적으로 높은 압력에서의 구조적 강도 확인에 사용됨
- 수압시험(Hydrostatic Test)의 경우 아래 기압시험보다 높은 압력(일반적으로 설계압력의 1.5배)까지 가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2 기압시험 (Pneumatic Test)
- 시험체 내부에 공기, 질소, 헬륨 등의 기체를 주입하여 압력을 가한 후 누설 여부를 확인
- 비가역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 수행
- 비파괴 검사(NDT)와 함께 적용될 수 있음
- 기압시험(Pneumatic Test)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압력 범위는 보통 0.5~10 bar 수준입니다.
- 하지만 이는 시험 대상의 설계 압력 및 산업 표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저압 시험: 0.5~2 bar (예: 민감한 부품 또는 작은 용기)
- 중압 시험: 2~5 bar (예: 산업용 배관 및 장비)
- 고압 시험: 5~10 bar (예: 고압 가스 시스템, 특수 장비)
2.3 헬륨누설시험 (Helium Leak Test)
- 헬륨 가스를 시험체 내부에 주입한 후 외부에서 헬륨 검출기로 누설을 검사
- 헬륨은 분자 크기가 작아 미세한 결함도 감지 가능
- 진공 상태에서 시험할 수 있어 높은 감도와 정밀도를 제공함
2.4 비누방울시험 (Bubble Test)
- 시험체에 기체를 가압한 후 표면에 비눗물을 도포하여 기포 발생 여부를 확인
- 간단한 방법으로 현장에서 빠르게 적용 가능하지만, 미세한 누설 감지는 어려움
3. 배관에서의 헬륨 가스 누설 시험 예시
3.1 시험 조건
- 배관 시스템: 스테인리스 스틸 배관 (지름: 50mm, 길이: 10m)
- 시험 가스: 헬륨 (순도 99.99%)
- 시험 압력: 5 bar
- 검출기: 질량 분석기 기반 헬륨 검출기
3.2 시험 과정
- 배관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든 후 헬륨 가스를 주입
- 외부에서 헬륨 검출기를 이용하여 누설 발생 여부 확인
- 헬륨이 검출되면 누설 부위를 정확히 탐지 후 수리
- 수리 후 재시험을 통해 누설이 해결되었는지 검증
3.3 결과 분석
- 누설 검출기에서 특정 위치에서 높은 헬륨 농도 검출 → 해당 부위 용접 불량 가능성
- 문제 부위 재용접 및 재시험 후 정상 확인 → 시험 합격
3.4 헬륨가스누설시험과 일반적인 기압시험의 차이
- 헬륨가스누설시험(Helium Leak Test)에서는 헬륨 검출기를 이용해 시험체 외부에서 헬륨이 검출되는지 여부로 누설을 판단합니다. 이 방법은 헬륨이 미세한 틈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고감도 검사 방식입니다.
- 한편, 일반적인 기압시험(Pneumatic Test)이나 수압시험(Hydrostatic Test)에서는 초기 압력에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압력 강하가 발생하는지를 기준으로 누설 여부를 판단합니다. 즉, 두 방법은 평가 기준이 다릅니다.
4. 참고문헌
- ISO 20485:2017 "Non-destructive testing — Leak testing — Tracer gas method"
- ASME Boiler and Pressure Vessel Code, Section V, Article 10 "Leak Testing"
- ASTM E499 "Standard Practice for Leak Detection in Pressure Vessels and Systems Using Helium Tracer Gas"
728x90
반응형
'에이비랩솔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소가스 실험의 안전을 위한 이귤레이터의 특성과 설계/제작 (0) | 2025.03.31 |
---|---|
폴리프로필렌(PP), 테프론(PTFE),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터(PET), 나일론(Nylon) 실험용 필터 제작 (0) | 2025.03.31 |
적외선 전기로(Infrared Furnace)의 특성과 실험용 적외선 전기로 (0) | 2025.03.28 |
저온 동결 트랩 장치의 특성과 사용분야 (0) | 2025.03.28 |
[쉽고 정확한 설명]게이지 압력과 절대 압력의 차이점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