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대학교 연구실, 기업부설연구소를 대상으로 실험장비를 100% 맞춤제작하고 있는 에이비랩솔루션입니다.
https://blog.naver.com/ablab2016
실험장비 맞춤제작 : 네이버 블로그
대학실험실/국공립연구실/기업부설연구소를 대상으로 실험장비(Pilot)와 시제품을 맞춤 설계/제작해 드립니다. [메일]ablabs@naver.com, [대표번호]031-8049-3306, [카톡상담]https://open.kakao.com/me/ablsqna
blog.naver.com

1. SCCM과 SLM의 정의
SCCM(Standard Cubic Centimeters per Minute)과 SLM(Standard Liters per Minute)은 유량(flow rate)을 나타내는 단위로, 특히 기체의 흐름을 측정할 때 사용됩니다.
- SCCM (Standard Cubic Centimeters per Minute): 표준 상태(온도 0°C, 압력 1 atm)에서 1분당 1 세제곱 센티미터(1 cm³)의 기체가 흐르는 유량을 의미합니다.
- SLM (Standard Liters per Minute): 표준 상태(온도 0°C, 압력 1 atm)에서 1분당 1 리터(1 L)의 기체가 흐르는 유량을 의미합니다.
2. SCCM과 SLM의 환산 수치
SCCM과 SLM은 서로 변환이 가능합니다. 변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SCCM = 1 mL/min (밀리리터 퍼 미닛) = 1 cm³/min
- 1 SLM = 1,000 SCCM = 1,000 mL/min
즉, SCCM 단위는 mL/min 단위와 동일하며, SLM 단위는 SCCM의 1,000배에 해당하는 값입니다.
3. SCCM과 SLM이 사용되는 분야
SCCM과 SLM 단위는 주로 기체 흐름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다양한 산업 및 연구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정밀한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장비로는 *MFC가 주로 사용됩니다.
*Mass Flow Controller(MFC)는 물질의 흐름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장치로써 가스, 액체의 유량 흐름을 측정하고, 그 유량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3.1 반도체 및 전자 산업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기체를 정밀하게 공급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화학기상증착(CVD) 및 원자층증착(ALD) 공정에서 사용되는 가스를 제어하기 위해 SCCM 단위가 주로 사용됩니다.
3.2 연구실 및 실험실 장비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진공 시스템, 질량 분석기,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와 같은 장비에서 기체 유량을 측정하고 조절하는 데 SCCM과 SLM이 사용됩니다.
3.3 의료기기 및 바이오테크
의료용 인공호흡기, 가스 혼합 장비, 실험실의 세포 배양용 기체 공급 등에 SCCM 및 SLM 단위가 사용됩니다.
3.4 산업용 공정 및 환경 제어
산업용 가스 처리, 공기 품질 관리 시스템, 연소 공정 제어 등에서도 기체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해 SCCM과 SLM 단위가 활용됩니다.
4. 결론
SCCM과 SLM은 기체 유량을 측정하는 데 중요한 단위이며, 1 SCCM은 1 mL/min, 1 SLM은 1,000 mL/min과 동일합니다. 이들은 반도체, 연구실 실험, 의료기기 및 산업 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정밀한 기체 유량 조절이 필요한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 ↓ ↓ ↓ ↓ 연구실험용 MFC 장비의 맞춤 설치 ↓ ↓ ↓ ↓ ↓
https://blog.naver.com/ablab2016/223679747799?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Mass Flow Controller(MFC, 질량유량제어기기)
안녕하세요. 대학교 연구실, 기업부설연구소를 대상으로 실험장비를 100% 맞춤제작하고 있는 에이비랩솔루...
blog.naver.com

저희 에이비랩솔루션은 간단한 컨셉만 주셔도,
연구 목표에 맞는 실험 장비를 설계부터 제작까지 정확하게 진행해 드립니다
항상 연구원님의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연구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에이비랩솔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각렌치와 별렌치의 사이즈표, (1) | 2025.02.18 |
---|---|
보툴리누스균(Clostridium botulinum)의 특성과 독성, 진화적 특징 (0) | 2025.02.17 |
캄록 카프링 배관 자재의 특성 및 사용법과 사이즈표 (0) | 2025.02.17 |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의 파장과 특성 및 응용분야 (0) | 2025.02.15 |
진공배관 사용법과 규격표, 일반배관의 차이점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