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ETF(상장지수펀드)가 상장폐지(상폐)되면 일반 주식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처리됩니다. 비교하면서 설명해 드릴게요.
1. 일반 주식이 상폐될 경우
- 주식이 상장폐지되면 거래소에서 더 이상 거래할 수 없게 됩니다.
- 상폐된 주식은 장외시장(일명 '뒷거래 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지만, 유동성이 거의 없고 가격 변동이 심합니다.
- 회사가 파산하거나 청산 절차를 밟으면 주주들은 투자금을 거의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ETF가 상폐될 경우
ETF는 개별 기업이 아니라 펀드 형태이므로 절차가 다릅니다.
- ETF가 상장폐지되면 운용사는 보유한 기초자산(예: 주식, 채권 등)을 모두 매도하고 현금으로 환산합니다.
- 그 후 청산 절차를 거쳐 투자자들에게 현금을 지급합니다.
- ETF의 청산 가격(환매금)은 ETF의 순자산가치(NAV, Net Asset Value)에 따라 결정됩니다.
- 일반 주식처럼 완전히 휴지 조각이 되는 것은 아니며, 대부분 투자금의 일부라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사례)
한국에서 상장폐지된 ETF 사례로는 한화자산운용의 'PLUS KS퀄리티가중TR'이 있습니다. 이 ETF는 2024년 8월 27일에 상장폐지되었습니다.
상장폐지 시, 해당 ETF가 보유한 자산은 모두 매도되어 현금화되며, 이 금액은 투자자들에게 분배됩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ETF의 순자산가치(NAV)에서 운용보수 등의 비용을 차감한 해지상환금을 지급받게 됩니다.
3. ETF 상폐의 주요 원인
- 거래량이 너무 적어 운용사가 ETF를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
- ETF의 기초지수(벤치마크)가 사라지는 경우
- 운용사가 해당 ETF 상품을 정리하려는 경우
4. 결론 및 투자자가 할 일
- 일반 주식은 상폐되면 투자금이 거의 사라질 가능성이 크지만, ETF는 상폐되더라도 기초자산을 팔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어 손실이 덜합니다.
- 하지만 ETF 상폐 전에 운용사 공지를 확인하고 미리 매도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ETF에 투자할 때는 유동성이 적거나 너무 작은 규모의 ETF는 상폐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728x90
반응형
'대투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F(Money Market Fund)와 금리의 관계 및 MMF에 투자하는 법 (1) | 2025.02.09 |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와 관련된 매파(호크, Hawk)와 비둘기파(도브, Dove)의 의미 (0) | 2025.02.09 |
주식 티커명 뒤에 붙는 ADR의 의미 (0) | 2025.02.06 |
보호관세(Protective Tariff)와 근본위제(Fundamental Crisis Removal) (0) | 2025.02.05 |
국채 발행량 증가가 금리에 미치는 일반적인 영향과 경기침체의 신호인 장단기금리 역전현상을 알아보자 : 채권투자방법, TLT, TLTW, TMF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