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랩솔루션

대투가

ETF 상장폐지가 될 경우 청산절차와 투자금 회수

에이비랩 2025. 2. 7. 18:04
728x90
반응형

 

ETF(상장지수펀드)가 상장폐지(상폐)되면 일반 주식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처리됩니다. 비교하면서 설명해 드릴게요.

1. 일반 주식이 상폐될 경우

  • 주식이 상장폐지되면 거래소에서 더 이상 거래할 수 없게 됩니다.
  • 상폐된 주식은 장외시장(일명 '뒷거래 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지만, 유동성이 거의 없고 가격 변동이 심합니다.
  • 회사가 파산하거나 청산 절차를 밟으면 주주들은 투자금을 거의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ETF가 상폐될 경우

ETF는 개별 기업이 아니라 펀드 형태이므로 절차가 다릅니다.

  • ETF가 상장폐지되면 운용사는 보유한 기초자산(예: 주식, 채권 등)을 모두 매도하고 현금으로 환산합니다.
  • 그 후 청산 절차를 거쳐 투자자들에게 현금을 지급합니다.
  • ETF의 청산 가격(환매금)은 ETF의 순자산가치(NAV, Net Asset Value)에 따라 결정됩니다.
  • 일반 주식처럼 완전히 휴지 조각이 되는 것은 아니며, 대부분 투자금의 일부라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사례)

한국에서 상장폐지된 ETF 사례로는 한화자산운용의 'PLUS KS퀄리티가중TR'이 있습니다. 이 ETF는 2024년 8월 27일에 상장폐지되었습니다.

 

상장폐지 시, 해당 ETF가 보유한 자산은 모두 매도되어 현금화되며, 이 금액은 투자자들에게 분배됩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ETF의 순자산가치(NAV)에서 운용보수 등의 비용을 차감한 해지상환금을 지급받게 됩니다.

 

3. ETF 상폐의 주요 원인

  • 거래량이 너무 적어 운용사가 ETF를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
  • ETF의 기초지수(벤치마크)가 사라지는 경우
  • 운용사가 해당 ETF 상품을 정리하려는 경우

4. 결론 및 투자자가 할 일

  • 일반 주식은 상폐되면 투자금이 거의 사라질 가능성이 크지만, ETF는 상폐되더라도 기초자산을 팔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어 손실이 덜합니다.
  • 하지만 ETF 상폐 전에 운용사 공지를 확인하고 미리 매도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ETF에 투자할 때는 유동성이 적거나 너무 작은 규모의 ETF는 상폐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