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대학교실험실, 기업부설연구소를 대상으로
맞춤형 실험장비 및 시제품을 맞춤제작하고 있는 에이비랩솔루션입니다.
1. 온도 센서의 종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주로 사용되는 두 가지인 K 타입과 PT 타입을 포함하여 몇 가지 주요 센서를 설명하겠습니다.
1) K 타입 열전대 (Thermocouple)
- 원리: 서로 다른 두 개의 금속을 연결하여 접점을 만들면, 온도 변화에 따라 전압이 발생하는 열전 효과(Seebeck 효과)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입니다.
- 특징:
- 사용 온도 범위: -200°C ~ 1,200°C
- 내구성이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
- 가격이 저렴하고 반응 속도가 빠름
- 다양한 산업 및 실험 환경에서 널리 사용됨
- 단점:
- 비교적 정확도가 낮음(오차 ±1~2°C)
- 보정이 필요할 수 있음
2) PT 타입 저항 온도계 (RTD: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 원리: 백금(Platinum) 등의 금속은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이 변하는 성질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합니다.
- 특징:
- 대표적으로 PT100(100Ω), PT1000(1000Ω) 등이 있음
- 사용 온도 범위: -200°C ~ 850°C
- 열전대(K 타입)보다 높은 정확도(±0.1~0.5°C)
- 신뢰성이 높고 장기적으로 안정적
- 단점:
- 가격이 비쌈
- 반응 속도가 비교적 느림
3) 다른 온도 센서 종류
- J 타입 열전대: K 타입과 비슷하지만, 최대 온도가 750°C로 제한됨.
- T 타입 열전대: 저온(-200°C ~ 350°C)에서 높은 정확도를 가짐.
- E 타입 열전대: K 타입보다 높은 전압 출력과 높은 감도를 가짐.
- NTC/PTC 서미스터: 반도체 소재를 사용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 변화를 측정(소형 전자기기에 많이 사용됨).
- 적외선(IR) 센서: 접촉하지 않고 온도를 측정(비접촉 온도 측정에 유용함).
🔹K 타입 열전대(K-Type Thermocouple)
- 전선 수: 2가닥
- 열전대는 두 가지 서로 다른 금속(Chromel + Alumel)으로 구성되며, 측정 접점에서 온도 변화에 따라 전압이 발생합니다.
- 극성이 있으며, 보통 양극(+)은 노란색, 음극(-)은 빨간색입니다.
🔹 PT 타입 저항 온도 센서(RTD: PT100/PT1000)
- 전선 수: 2가닥, 3가닥, 4가닥 방식이 있음.
- 일반적으로 PT100 센서는 3선식 또는 4선식이 많이 사용됨.
- 2선식: 저항 변화로 온도를 측정하지만, 선 자체의 저항 오차가 포함되어 정확도가 떨어짐.
- 3선식: 한 개의 공통선을 사용하여 선 저항 오차를 보정함(산업용 장비에 많이 사용).
- 4선식: 가장 정확한 측정 방식으로, 선 저항을 완전히 제거하여 정밀도가 높음.
2. 온도 컨트롤러 (Temperature Controller)
온도 센서는 측정값만 제공할 뿐, 이를 활용하여 온도를 조절하려면 온도 컨트롤러가 필요합니다.
기능
- 목적 온도 설정: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설정하면, 컨트롤러가 이를 유지하도록 조절함.
- 항온 기능: 설정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변동을 최소화함.
- PID 제어: 정밀한 온도 제어를 위해 PID 알고리즘을 사용함.
- 출력 제어: 히터(가열) 또는 냉각 장치(쿨러, 팬)-옵션 등을 제어하여 온도를 조절함.
3. PID 제어 원리
온도 컨트롤러에서 정확한 온도 제어를 위해 PID 제어(PID Control) 방식을 사용합니다. PID는 비례(Proportional), 적분(Integral), 미분(Derivative) 의 약자로, 각각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P (비례 제어):
- 현재 온도와 설정 온도의 차이(오차)에 비례하여 출력을 조절.
- 오차가 클수록 출력도 커지지만, 잔여 오차(steady-state error)가 발생할 수 있음.
- I (적분 제어):
- 시간이 지나면서 누적된 오차를 보정하여 잔여 오차를 줄임.
- 하지만 적분값이 너무 크면 오버슈트(overshoot,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 가 발생할 수 있음.
- D (미분 제어):
- 온도의 변화 속도를 계산하여 빠른 반응을 유도.
-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노이즈)에 과민 반응할 수 있어 적절한 조정이 필요.
PID 제어의 작동 원리
- 센서가 현재 온도를 측정하여 컨트롤러에 전달.
- 컨트롤러는 설정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오차)를 계산.
- PID 연산을 통해 히터(또는 쿨러)에 신호를 보내 가열 또는 냉각 수행.
-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온도가 설정값에 도달하고, 일정하게 유지됨.
PID 제어를 적절히 조정하면 온도 오차를 최소화하면서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4. 온도센서 및 온도모니터링 장치 맞춤제작
온도센서와 온도컨트롤러의 경우 인터넷이나 기타 쇼핑몰에서 쉽게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한 배선연결 및 전원작업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온도 보정작업(Calibration)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저희 에이비랩솔루션에서는 연구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확한 센서 선택과 온도제어 모니터링 장비 제작 등 모든 사항을 진행 할 수 있습니다.
- 아래 사항을 말씀해주시면 신속하고 정확한 온도모니터링 장비 제작이 가능합니다.
1) 사용온도
2) 온도센서 설치위치의 형태(나사타입, 플렌지 타입, 기타 등)
3) 온도센서 로드의 길이 및 구경
4) 온도센서 케이블 길이
"저희 에이비랩솔루션은 간단한 컨셉만 주셔도,
연구 목표에 맞는 실험 장비를 설계부터 제작까지 정확하게 진행해 드립니다
항상 연구원님의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연구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한 사항 ↘ ↘ ↘
https://blog.naver.com/ablab2016
실험장비 맞춤제작 : 네이버 블로그
대학실험실/국공립연구실/기업부설연구소를 대상으로 실험장비(Pilot)와 시제품을 맞춤 설계/제작해 드립니다. [메일]ablabs@naver.com, [대표번호]031-8049-3306, [카톡상담]https://open.kakao.com/me/ablsqna
blog.naver.com
'에이비랩솔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크릴 소재의 특성과 아크릴 실험장비, 실험기구 맞춤 설계/제작 (0) | 2025.02.06 |
---|---|
볼트너트 규격표 보는법, 육각볼트, 렌치볼트 규격표 보는법 (0) | 2025.02.06 |
연구실험용 정류기(Rectifier) 맞춤제작 (0) | 2025.02.05 |
백금전극, 백금도금전극 맞춤제작 (0) | 2025.02.04 |
Lok fitting 락피팅 규격 및 크기 Size 선택방법 및 락피팅 설치방법 (1)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