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랩솔루션

대투가

위안화 절하가 중국 수출기업에 미치는 영향 – 미중 관세전쟁을 중심으로

에이비랩 2025. 4. 10. 15:03
728x90
반응형

1. 서론

  • 2018년부터 본격화된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전쟁은 세계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불균형을 해소하려 했고, 이에 중국은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하였다.
  • 그중 하나가 위안화의 절하(通貨切下, Currency Depreciation)이다.
  • 중국 정부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조치로 위안화 가치를 낮추어 자국 수출기업에 대한 경쟁력을 유지하려는 전략을 취했다.
  • 본 보고서는 위안화 가치 하락이 어떻게 수출기업에 이득을 주는지를 사례와 함께 설명한다.

2. 위안화 절하의 개념

  • 위안화 절하란, 외환시장에서 위안화의 가치가 다른 통화(예: 달러)에 비해 하락하는 것을 의미한다.
  • 예를 들어, 1달러당 6위안이던 환율이 1달러당 7위안으로 상승하면, 위안화의 가치가 하락(절하)한 것이다.

3. 수출기업에 미치는 영향

수출기업은 외국 고객에게 자국 제품을 판매하고, 그 대금을 보통 달러나 유로화로 받는다. 위안화가 절하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생긴다:\

(1) 수익 증가

예를 들어, A기업이 미국에 제품을 1,000달러에 판매한다고 가정하자.

  • 환율 1달러 = 6위안일 때:
    → 1,000달러 × 6위안 = 6,000위안 수익
  • 환율 1달러 = 7위안으로 위안화 절하되었을 때:
    → 1,000달러 × 7위안 = 7,000위안 수익

동일한 달러 수익이더라도, 환율이 바뀌면 실제 위안화 수입은 증가하게 된다. 즉, 수출기업 입장에서는 같은 제품을 팔더라도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구조다.

(2) 가격 경쟁력 향상

  • 위안화가 약세가 되면, 달러 기준으로 봤을 때 중국 제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 미국 소비자 입장에서는 더 저렴한 가격에 중국 제품을 살 수 있게 되므로, 중국산 제품의 수요가 늘어난다.

예를 들어,

  • 어떤 중국 제품의 가격이 700위안이고 환율이 1달러=7위안이면, 미국 수입업자는 100달러에 구매 가능.
  • 그런데 환율이 1달러=6위안으로 바뀌면, 같은 제품이 116달러가 된다.
  • 이 차이 때문에 위안화가 절하될 경우 수출 경쟁력이 강화된다.

4. 종합적 효과

  • 중국은 미국의 고율 관세로 인해 수출기업의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위안화 절하를 통해 그 부담을 일부 상쇄하고자 했다.
  • 물론 위안화 가치 하락은 수입 비용 증가, 자본 유출 우려 등의 부작용도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수출 진작에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5. 결론

  • 위안화 절하는 중국 수출기업에게 더 높은 수익과 강화된 가격 경쟁력을 제공한다.
  • 미국의 고율 관세가 수출기업의 이익을 줄이는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때, 중국은 환율 정책을 통해 이를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었다.
  • 이러한 전략은 단기적 효과가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시장 신뢰와 금융 안정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1. 박정수, 『국제금융론』, 박영사, 2022.
  2. Krugman, P., & Obstfeld, M. (2021). International Economics: Theory and Policy. Pearson.
  3.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https://ecos.bok.or.kr)
  4. Reuters. (2019). "China lets yuan fall to lowest point in over a decade."
  5. BBC News. (2019). "China currency falls after US tariff threat."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