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대학교실험실, 기업부설연구소를 대상으로
맞춤형 실험장비 및 시제품을 맞춤제작하고 있는 에이비랩솔루션입니다.
https://m.blog.naver.com/ablab2016/223781602973
연구·개발을 위한 맞춤형 실험·분석 장비 설계/제작
안녕하세요 에이비랩솔루션입니다. 당사는 「대학 실험실」, 「국공립 연구소, 「기업 부설 연구소」를 대...
blog.naver.com
플랜지 사용 방법
1. 플랜지의 개요
- 플랜지(Flange)는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거나 배관을 장비에 부착할 때 사용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접합 부품이다.
- 주로 **볼트와 개스킷(Gasket)**을 이용하여 체결하며,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필요한 배관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된다.
2. 플랜지의 주요 사용 방법
① 배관 연결
- 두 개의 배관 끝에 플랜지를 용접(Welding) 또는 나사산(Thread) 방식으로 부착한 후, 볼트와 개스킷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 주로 고온, 고압의 배관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분해 및 점검이 용이하다.
② 배관과 장비(밸브, 펌프 등) 연결
- 플랜지는 펌프, 밸브, 열교환기 등의 설비와 배관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 플랜지 연결부에는 **개스킷(Gasket)**을 삽입하여 누설 방지 기능을 강화한다.
③ 배관 차단 및 블라인드 플랜지(Blind Flange) 사용
- 배관의 끝단을 막거나, 특정 구간의 유체 흐름을 차단할 때 블라인드 플랜지를 사용한다.
- 추후 확장이 필요한 배관에도 블라인드 플랜지를 적용하여 필요 시 쉽게 연결할 수 있다.
④ 배관 유지보수 및 검사
- 플랜지 연결부는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므로, 배관 내부 점검, 세척, 수리 시 유용하다.
- 특히 고온·고압 배관에서는 정기적으로 개스킷 교체 및 체결 볼트 점검이 필요하다.
3. 플랜지 연결 절차
- 플랜지 준비
- 배관 끝단에 플랜지를 용접(필요 시)하거나, 나사형 플랜지를 체결한다.
- 플랜지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탄도를 확인한다.
- 개스킷(Gasket) 삽입
- 두 플랜지 사이에 적절한 **개스킷(패킹)**을 삽입하여 밀봉 성능을 확보한다.
- 개스킷 종류는 비금속(NBR, PTFE), 반금속(Spiral Wound), 금속 개스킷 등이 있으며, 압력과 온도 조건에 맞춰 선택한다.
- 볼트 체결
- 플랜지의 볼트 홀을 맞추고 볼트를 균일한 토크(Force)로 체결한다.
- 일반적으로 **대각선 순서(Cross Tightening)**로 조여서 균형 있게 압력을 분배한다.
- 체결 상태 점검 및 시험
- 체결 후, 플랜지 연결부의 **누설 시험(Leak Test) 또는 수압 시험(Hydrostatic Test)**을 시행한다.
- 필요 시 토크렌치를 사용하여 체결력(Clamp Force)을 보정한다.
4. 플랜지 사용 시 주의사항
- 볼트 체결 순서 준수
- 균형 잡힌 체결을 위해 대각선 순서로 조여야 한다.
- 과도한 힘을 가하면 개스킷이 손상될 수 있다.
- 개스킷 종류 및 규격 확인
- 사용 환경(압력, 온도, 유체 종류)에 적합한 개스킷을 선택해야 한다.
- 부적절한 개스킷 사용 시 누설 발생 위험이 있다.
- 부식 및 손상 점검
- 주기적으로 플랜지 및 볼트 부식을 점검하여 사고를 예방한다.
- 특히 화학 플랜트, 해양 환경에서는 부식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 체결 토크 관리
- 볼트 체결 시 제조사 권장 토크 값을 준수해야 한다.
- 과도한 체결은 플랜지 변형을 유발하고, 부족한 체결은 누설 위험을 증가시킨다.
- 아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랜지 규격(JIS, ANSI, KS 등)에 따른 SUS(스테인리스) 파이프 규격표입니다.
- 각 플랜지 규격에 대응하는 파이프 외경(OD), 두께(Sch 기준), 그리고 플랜지의 볼트 홀 수를 포함하였습니다.
플랜지 규격 및 대응 SUS 파이프 규격표
(단위: mm)
플랜지 규격 (JIS 10K) | 대응 SUS 파이프 (OD × t) | 볼트 홀 수 (개) |
15A (1/2") | 21.7 × 2.0 (Sch10) | 4 |
20A (3/4") | 27.2 × 2.0 (Sch10) | 4 |
25A (1") | 34.0 × 2.3 (Sch10) | 4 |
32A (1-1/4") | 42.7 × 2.3 (Sch10) | 4 |
40A (1-1/2") | 48.6 × 2.3 (Sch10) | 4 |
50A (2") | 60.5 × 2.8 (Sch10) | 4 |
65A (2-1/2") | 76.3 × 2.8 (Sch10) | 4 |
80A (3") | 89.1 × 3.2 (Sch10) | 8 |
100A (4") | 114.3 × 3.6 (Sch10) | 8 |
125A (5") | 139.8 × 4.0 (Sch10) | 8 |
150A (6") | 165.2 × 4.5 (Sch10) | 8 |
200A (8") | 216.3 × 6.0 (Sch10) | 12 |
250A (10") | 267.4 × 6.0 (Sch10) | 12 |
300A (12") | 318.5 × 6.5 (Sch10) | 16 |
※ 플랜지 규격은 JIS B2220 10K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ANSI 및 다른 규격(JIS 5K, 16K 등)의 경우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SUS 파이프 두께는 Sch10 기준이며, Sch20, Sch40 등 다른 두께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볼트 홀 수는 일반적인 플랜지 사양에 따른 값입니다.
SUS 파이프의 스케줄(Sch) 개념 및 규격표
1. 스케줄(Sch, Schedule) 개념
- **Sch(스케줄)**은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는 표준 단위로, 주로 ANSI B36.19 및 B36.10 표준을 따름.
- 같은 **외경(OD, Outside Diameter)을 유지하면서 두께(t, Thickness)**가 변하는 방식.
- Sch10, Sch20, Sch40, Sch80 등으로 구분되며, 숫자가 클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내압성이 증가.
- 일반적으로 SUS 배관은 Sch10 및 Sch40을 많이 사용하지만, 높은 압력 적용 시 Sch80, Sch160 등도 사용됨.
2. SUS 파이프 스케줄(Sch)별 규격표
(단위: mm)
파이프 규격 (A) | 외경(OD) | Sch10 (t) | Sch20 (t) | Sch40 (t) |
15A (1/2") | 21.7 | 2.0 | 2.8 | 2.8 |
20A (3/4") | 27.2 | 2.0 | 2.8 | 2.9 |
25A (1") | 34.0 | 2.3 | 3.0 | 3.4 |
32A (1¼") | 42.7 | 2.3 | 3.0 | 3.6 |
40A (1½") | 48.6 | 2.3 | 3.0 | 3.7 |
50A (2") | 60.5 | 2.8 | 3.6 | 3.9 |
65A (2½") | 76.3 | 2.8 | 3.6 | 5.2 |
80A (3") | 89.1 | 3.2 | 4.0 | 5.5 |
100A (4") | 114.3 | 3.6 | 4.5 | 6.0 |
125A (5") | 139.8 | 4.0 | 5.0 | 6.6 |
150A (6") | 165.2 | 4.5 | 5.5 | 7.1 |
200A (8") | 216.3 | 6.0 | 6.4 | 8.2 |
250A (10") | 267.4 | 6.0 | 6.4 | 9.3 |
300A (12") | 318.5 | 6.5 | 6.4 | 10.3 |
※ Sch20은 공식적인 ANSI 규격은 아니며, 일부 지역에서 Sch10과 Sch40의 중간 두께로 사용됨.
※ 특정 공정 및 설비 요구사항에 따라 두께가 달라질 수 있음.
참고문헌
- 대한설비공학회, 배관 및 플랜지 규격 해설, 2022.
- 한국산업규격(KS), KS D 3576 스테인리스 강관 규격, 2021.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B36.19M Stainless Steel Pipe Standards, 2018.
- 일본공업규격(JIS), JIS B2220 플랜지 규격, 2019.
728x90
반응형
'에이비랩솔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외선 온도센서의 특성과 연구실험용 정밀 적외선온도센서 공급 (0) | 2025.03.13 |
---|---|
불용성 전극(DSA Electrode)의 특성과 DSA전극 맞춤 제작 (1) | 2025.03.12 |
점도단위 종류와 점도단위 변환식에 관한 보고서 (0) | 2025.03.09 |
온도단위 종류와 온도단위 변환식에 대한 보고서 (0) | 2025.03.09 |
진공펌프의 특성과 일반 펌프와의 비교, 실험용 정밀 진공펌프 시스템 제작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