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대항해시대 투자탐험가입니다.
우선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올해도 성투 바랍니다.
오늘 다뤄볼 주제는 많이 오른 미국주식, "2025년 올해도 상승세를 이어갈까"에 대한 대답중의 하나로 미국산업의 생산성 저하문제를 다뤄보고자 합니다.
우선 신문기사 하나 보시겠습니다.
(출처 : Forbes,Economic Forecast For 2025 And Beyond: Growth With Continued Inflation, Dec 30, 2024)
2025년에도 미국주식은 성장한다.

제목과 같이 2025년에도 지속적인 인플레이션과 함께 미국주식시장은 상승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2024년보다 상승속도가 느릴 것으로 예상되며, 그 이유는 Fed의 목표보다 높게 유지될 인플레이션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지출이 얼마나 증가할 것이냐 가 아닌 "미국경제가 얼마나 생산할 수 있는가" 가 가장 큰 핵심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2025년 미국주식의 성장은 계속되나 속도는 느려진다.
미국 GDP의 성장율은 2024년에 2.7% 이었으며, 2025년에 2.1%, 2026년에 1.6%로 예상되며,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치2%는 올해 달성하지 못했으며, 2025년에도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이말인즉 미국주식시장은 GDP 만큼만 성장한다는 이야기이며, 우리가 기대하는 GDP 성장율을 뛰어넘는 주식성장률은 기대하기 어렵다 라고 풀이될 수 있겠습니다.
이는 결국 높은 인플레이션 때문이고, 물가가 높으면(인플레이션이 높으면) 금리를 내리지 못하므로 빠른 주식 성장률을 기대하기 힘들것으로 풀이됩니다.
2025년 미국시장의 가장 큰 위험요소는 경기침체(X), 생산성(O)
그렇다면 GDP 성장률을 더 높이면 되는것 아닌가? 라고 물어볼 수 있겠으나 내년 트럼프 취임에 따라 낮아지는 생산성이 발목을 잡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기사요약
- 트럼프 정책의 이민감소에 따라 생산능력이 제한될 예정
- 지난 2년 동안 일자리 성장을 가능하게 했지만, 트럼프 취임 직후 국경통과에 대한 단속시작이 예상
- 미국의 농업, 식당, 호텔, 레져, 건설 노동자의 대부분은 불법이민자이며, 이들이 더이상 들어오지 못하여 생산성 감소로 인해 경제 성장률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
트럼프 취임 직후 관세, 금리, 정책 등 여러가지 주식시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있겠으나 그중 단기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에 따라 조정장을 이끌 요인이라면 불법이민자 배제로 인해 유발되는 "생산성 감소"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생산성 저하의 문제를 어떻게 풀 것인가
여기까지는 Forbes 기사에 바탕을둔 내용이고, 제 개인적인 생각은 트럼프 공약 중 비교적 강력한 불법이민자 추방은 타협없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고, 당장의 인력 부족으로 인한 생산성저하 문제는 성적표(GDP 증가율)는 차치하더라도 인력부족이라는 직관적인 문제는 상당기간 이슈화 됨에 따라 공포분위기가 연출될 가망성이 큼니다.
공포는 주식이 잘 올라가도(Fomo), 내려가도 생기며, 그 공포의 밑바탕에는 "불확실성"이 있습니다.
불법이민자 배제에 따른 생산성 저하 문제를 트럼프는 어떻게 풀까요?
하루가 다르게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는 AI와 로봇으로 대체될 수 있겠지만 당장의 불확실성의 안개는 겉어내기 힘들 것으로 생각됩니다.
결론 : 2025년에는 기본적으로 "조정장"을 염두하고 투자하자.
꼭 하락장을 염두하고 말씀드리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신호기다리는데 뒤에서 급작스레 받친것이 앞차에 받친것 보다 더 아프듯 마음에 "조정장"을 염두해 두시고 올해 상반기를 맞이하시면 어떨까 하내요.
이상 대항해시대 투자탐험가 였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성투하세요!

'성장주파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러인덱스를 보고 주시시장 전망을 파악해 보자 (1) | 2025.01.04 |
---|---|
금(Gold) 사세요~ 아날로그 말고 디지털금 사세요! (1) | 2025.01.03 |
미국채 만기도래, 올해 3조달러 매물폭탄, 미국장기국채 ETF 오르나? TLT 투자자 주목! (0) | 2025.01.03 |
테슬라 사이버트럭 테러, 테슬라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0) | 2025.01.02 |
전기차 캐즘, 올해는 극복할 것인가? (0) | 2025.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