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이 현실인가, 꿈인가를 항상 자각해야 한다"《리얼리티 트랜서핑》

《리얼리티 트랜서핑》 2권에서 강조하는 "지금이 현실인가, 꿈인가를 항상 자각해야 한다"는 개념은 의식적인 깨어 있음(awareness)과 현실 창조의 주도권과 관련이 있습니다.
바딤 젤란트는 우리가 일상에서 무의식적으로 살아갈 때, 현실이 우리를 휩쓸어 가지만, 스스로 "지금 이 순간이 꿈인가 현실인가?"를 끊임없이 자각하면 현실을 창조하는 힘을 되찾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 이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무의식적인 자동반응에서 벗어나기
사람들은 보통 일상을 자동 조종 상태로 살아갑니다.
외부 환경과 감정에 휘둘리며, 현실을 스스로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반응"하는 존재가 됩니다.
"이 순간이 꿈인가?"를 자각하면, 자동적인 사고 패턴에서 벗어나 주도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2. 관찰자의 시점으로 이동하기
현실을 꿈처럼 바라보면, 현실 속 사건에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휘둘리지 않습니다.
마치 꿈에서 "이건 꿈이야!"라고 깨달으면 꿈을 조종할 수 있듯이, 현실도 더 유연하게 다룰 수 있습니다.
현실 속에서 관찰자의 시점(observer position)을 유지하면, 펜듈럼(집단적 에너지 흐름)의 영향을 덜 받게 됩니다.
3. 의식적으로 원하는 현실을 선택하기
리얼리티 트랜서핑의 핵심은 현실이 단 하나의 고정된 것이 아니라, 수많은 가능성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입니다.
무의식적으로 살면 기존의 익숙한 현실(과거의 사고방식, 감정 패턴)을 반복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것이 꿈이라면, 나는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자각을 가지면, 더 자유롭게 원하는 현실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꿈과 현실의 경계를 허물기
꿈속에서 자각몽(lucid dream)을 경험한 사람들은 꿈을 조종할 수 있다는 걸 압니다.
마찬가지로 현실도 유동적인 에너지의 흐름이며, 우리가 더 의식적으로 존재하면 현실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현실을 꿈처럼 인식하면, 고정된 한계를 깨고 새로운 가능성을 쉽게 받아들이게 됩니다.
결론
"지금이 현실인가, 꿈인가?"를 자각하는 연습을 하면, 현실을 자동적으로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창조하는 삶을 살게 됩니다. 바딤 젤란트는 이를 통해 우리가 기존의 틀에 갇히지 않고, 원하는 현실을 선택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된다고 설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