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투가

존 보글(John Bogle)의 다섯가지 투자 원칙

에이비랩 2025. 2. 17. 13:00
728x90
반응형

 

잭 보글은 지수가 신고점일 때 알아야 할 다섯 가지 투자 원칙을 제시합니다.

그는 주식 수익은 단기적으로 투기에  장기적으로는 기본 요소들에 의해 결정된다고 강조합니다.

또한, 미래 예측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위험을 관리하는 올바른 전략을 세울 것을 권장합니다.

저비용 지수펀드 활용과 적정 자산 배분으로 투자자들이 지속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음을 강하게 지속하며, 감정적이지 않은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불확실한 시장 상황에서도 초심을 잃지 않고 안정적인 투자를 할 수 있는 길잡이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 시장의 투기와 펀더멘탈의 긴장 관계

 

 

  • 현재 시장에서 뮤추얼 펀드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특정 대기업들에 대한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으며, 코카콜라, P&G, GE 등 주요 기업들의 주가는 이미 상당히 상승해 있다.
  • 1929년과 유사한 고평가와 위험 신호가 보이며, 이러한 환경에서 비지수 펀드들이 더욱 불안정해지고 있다. 
  • 1928년 당시 캘빈 쿨리지 대통령의 발언과 경제 상황, 그리고 그 후의 경제 위기가 현재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준다.
  • 현재 주식 시장에서는 투기가 주도하고 있으며, 펀더멘탈 투자(배당 수익률 및 실적 성장)는 뒤로 밀리는 경향이 있다. 
  • 과거 200년의 역사에 따르면, 장기적으로는 펀더멘탈이 수익을 좌우하게 되므로 이러한 긴장은 해결되어야 한다.

2. 📈 새로운 투자 환경에 대한 관점

 

 

  • 현재의 주식 시장은 과거의 평균 성장률보다 높은 수준으로 15%의 수익률과 14%의 이익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 글로벌 경제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이 존재하며, 이는 25년간의 번영을 기대하게 한다. 
  • 그러나 실제로 미국 주식시장은 최고의 시기를 반영한 가격에 설정되어 있어,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 해외 투자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있으며, 해외 주식의 수익률은 변동성 크고 예측하기 어렵다. 
  • 포트폴리오의 5%에서 20%를 국제 투자에 배정할 것을 추천하며, 지나친 투자 비율 상승은 더 큰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 

2.1. 새로운 투자 시대의 평가

  • 현재의 주가수익비율은 약 13배로 정상 수준으로 하락할 것이며, 다우지수가 5200에 도달하더라도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 지나치게 비관적인 전망은 아니며, 새로운 시대에서는 주식 수익률이 평균 15%에 이르고, 수익 성장율이 14%, 배당 수익률이 1%에 이를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 이러한 새로운 호황 시대와 높은 평가는 오늘날의 가격 수준을 정당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어질 것이다. 
  • 바튼 빅스는 주식의 실질 평균 수익률이 10%에 이를 것이라고 보았으나, 결국 7-8% 범위가 적정하다고 결론지었다. 
  • 주식의 가격 수준을 정당화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며, 투자자들에게 주식 대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2.2. 글로벌 붐과 경제 성장 예측

  • 1997년 7월 Wired 매거진에 실린 "The Long Boom"이라는 기사가 전 세계의 25년 동안의 번영을 예고하고 있다. 
  • 이 기사에서는 전례 없는 규모의 글로벌 붐이 시작될 것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경제를 매 12년마다 두 배로 늘릴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한다. 
  • 지속적인 성장으로 인해 빈곤 문제 해결과 세계 평화가 유지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 포함되어 있다. 
  • 미국의 발전, 새로운 기술, 그리고 글로벌 시장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이는 개방 사회와 통합된 세계에 의해 촉진된다고 한다.
  • 결국,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면 생산성 증가와 함께 유럽 통합, 러시아 경제 안정, 중국의 세계 최대 경제 발전 등이 예상된다. 

2.3. 밈(meme)의 정의와 문화적 진화

  • 밈(meme)전염성 아이디어로, 사람의 사고에서 사고로 전달되며 마치 바이러스처럼 복제된다. 
  • 밈은 유전자나 바이러스처럼 기능하며,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와 대면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 밈은 문화적 진화의 기본 단위로 정의된다. 
  • 새롭게 발생한 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그러나 그 발생이 확실할지는 예측하기 어려우므로 신중함이 필요하다.

2.4. 글로벌 주식 시장에 대한 회의론

  • 미국 주식 시장은 최상의 시기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여 가격이 책정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2-29]
  • 하지만 미국은 세계 2조 달러 주식 시장에서 40%의 가치를 차지하기 때문에, 지원하는 포트폴리오는 40%를 미국, 60%를 유럽, 태평양 및 신흥 시장에 투자해야 한다고 언급한다. [2-33]
  • 1970년대와 1980년대 동안 미국 및 외국 주식의 연간 수익률은 각각 17%와 11%였으나, 이는 선례징후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2-39]
  • 1990년대에는 미국 주식이 연 17% 상승한 반면, 외국 주식은 단지 5%로, 향후 이 패턴을 예측할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2-43]
  • 외국 주식에 대한 수익률은 미국 달러 가치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하며, 그 예로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약한 달러가 외국 주식 수익률을 20% 증가시킨 사례를 제시한다. [2-47]

2.5. 국제 투자에 대한 원칙

  • 국제 투자 비중은 다양화를 위해 5%에서 20% 사이를 추천하며, 그 이상의 비중은 경제적 위험으로 인해 권장되지 않는다. [2-55]
  • 주식이 기술 발전세계화로 인해 유례없는 정점에 도달했다는 점이 강조된다. [2-56]
  • 이러한 상황을 회피할 수 없으므로,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언급된다. [2-57]

 

3. 📈 투자 원칙 다섯 가지

 

 

  • 자는 필수이며 가장 큰 위험은 돈을 투자하지 않는 것이다. 장기적으로 자산을 성장시키는 것이 단기적인 가격 변동보다 중요하다. [3-2]
  • 투자의 시점에 따라 접근 방식을 다르게 해야 한다. 20대라면 주식에 투자하고, 60대라면 채권 비율을 늘려야 한다. [3-7]
  • 현실적인 기대를 가지고 미래 수익에 대해 준비해야 하며, 시장의 하락도 예상해야 한다.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 모두 조심할 필요가 있다. [3-11]
  • 복리의 힘과 시간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런 원칙들을 마음에 새기는 것이 좋다. [3-10]
  • 개인의 감정이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하고, 감정을 배제하고 이성을 유지하는 것이 성공적인 투자에 중요하다. [3-13]

4. 📊 투자 원칙의 간결함

 

 

  • 간결함은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4-1]
  • 많은 전문가들이 존재하지만, 기본적인 투자 원칙은 단순하다. [4-3]
  • 자산 배분은 주식, 채권, 유동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비용도 장기 수익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4-5]
  • 저렴한 비용의 지수 펀드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 [4-6]
  • 모든 규칙을 따를 때, 어떤 상황에서도 꾸준히 투자를 계속해야 한다. [4-10]

 

 

 

 

 

 

 

 

 

 

 

728x90
반응형